HDD의 성능 지표로서 흔히 언급하는 내용이 바로 Buffer와 RPM, 그리고 volume capacity인 용량입니다. 하지만, 외장형으로 사용할 때는 여기에 더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데 필요한 인터페이스(USB2.0, IEEE1394, SCSI, SATA등등)의 대역폭(bandwidth)이 대단히 중요한 변수가 됩니다.
Low-end user인 일반 소비자분들께서는 대개의 경우 USB2.0이나 IEEE1394방식으로 되어 있는 외장형 케이스를 많이 구매하시는 편입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들은 대개의 경우 PCI혹은 Cardbus방식으로 되어 있는 컨트롤러를 장착한 상태에서 외장형 케이스를 연결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흔히 현재의 PCI 혹은 Cardbus는 32bit 체제이므로, 대역폭을 고려할 때, 내장형으로 동작하는 HDD의 Data 전송능을 따라잡지 못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다시 말해서 아무리 성능 좋은 HDD나 ODD를 장착하더라도 PCI혹은 Cardbus의 대역폭에 전송속도가 묶이게 된다는 얘기입니다.
완제품으로 된 외장형 스토리지 상품을 구매한다. 비용대비 성능면에서 일반적인 IEEE1394나 USB2.0에 비해 SCSI, FC, SATA등은 인터페이스 뿐만 아니라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게 되므로, 일반유저들이 구비하기에는 TCO가 너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만족할 만한 성능을 구현시키기 위해 여러번의 테스트나 기술지원이 될 수 있는 완제품형태의 외장형 스토리지 상품등을 구비할 경우는 비용문제에서 어느 정도 이득을 얻을 수 있다.